외국인 43%, 최근 5년간 DMZ 최초 인지… ‘평화’보다는 ‘전쟁’ 떠올라
외국인 43%, 최근 5년간 DMZ 최초 인지… ‘평화’보다는 ‘전쟁’ 떠올라
  • 유형수 기자 rtnews@kmaeil.com
  • 승인 2020.09.22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인매일=유형수기자)DMZ에 대한 국내외 인식조사 결과 외국인 43%는 2015년부터 DMZ를 인지한 경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MZ 하면 떠오르는 최초 연상 키워드로는 ‘전쟁’이 제일 높았으며, ‘평화’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경기연구원이 2020년 8월 1일부터 11일까지 실시한 ‘2020년 DMZ 인식 설문조사’ 결과로, 2019년 실시한 1차년도 조사와 비교한 분석 자료를 <한국인과 외국인이 본 DMZ: ‘국토 분단’에서 ‘인식의 분단’으로>에 담아냈다.

이번 조사대상은 기존 한국(서울, 경기, 인천, 강원), 중국(홍콩, 심천), 독일(베를린, 그뤼네스반트 접경지역)에서 아일랜드(아일랜드공화국, 영국 북아일랜드)를 추가하여 총 1,000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한강하구,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한국 이미지 비교 등 현재 상황에 관한 문항을 추가했다.

조사 결과 외국인은 대체로 2000년에 DMZ를 인지하기 시작, 2015~2019년 5년간 인지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DMZ에서 정상회담과 이벤트가 증가하여 단기간에 글로벌 이미지를 확보한 것으로 풀이된다.

DMZ 가치는 2019년 조사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은 가운데 생태자원, 평화상징의 가치가 약간 낮아지고, 경제자원 가치는 소폭 증가했다. 이는 비핵화 협상 교착, DMZ 활용에 대한 실용적 관점이 다소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DMZ 최초 연상 키워드는 2019년과 달리 2020년에는 ‘전쟁’이 대폭 증가하고 ‘평화’는 감소했다. 이는 2019년 판문점 북미 정상회담 등 DMZ를 둘러싼 국내외 정치적 변화에 의한 단기적 인식 변화로 판단된다.

한국 방문 경험이 있는 외국인 응답자의 DMZ 접경지역 방문율은 71.8%로, 40.0%인 한국인에 비해 1.8배 높다. DMZ가 관광 목적지로 어느 정도 알려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적극적으로 홍보하면 DMZ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인 응답자의 경우 수상 DMZ 역할을 하는 ‘한강하구’에 대한 인지율은 39.8%에 불과했다. 특히 연령대가 낮을수록 인지율이 낮아 시간이 지날수록 우리의 주요 자원인 한강하구가 기억에서 사라져 ‘인식의 분단’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하구에 대한 최초 연상 이미지는 자연, 습지, 평화, 환경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한강하구에 대한 남북한 공동 개방 및 활용 방안 1순위로는 ‘옛 포구 및 포구마을 복원’(24.2%), ‘습지 보호지구 지정’(19.2%) 순으로, 1~3위 합계에서는 ‘습지 보호지구 지정’(49.3%)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세 변화를 고려한 한국에 대한 최초 연상 키워드로 외국인은 평화와 통일, 전쟁, 위험, 분단 등 한반도가 안전하지 않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 이전과 이후 한국에 대한 이미지 평가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는 다소 증가했으나 ‘분쟁(전쟁)으로부터 안전한 국가’ 항목은 여전히 낮은 평가를 받아 위험에 대한 이미지가 강했다.

이정훈 경기연구원 북부연구센터장은 “설문조사 결과 DMZ는 휴전 67년이 지난 지금까지 전쟁과 분단 이미지가 강하며, 특히 한강하구와 같이 중요한 장소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아 ‘인식의 분단’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므로 역사 복원과 체험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DMZ가 한반도의 지정학적 중추지대로서 번성한 마을과 포구, 산업을 가졌던 삶터였다는 사실을 알리고 복원을 통한 체험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또한, DMZ의 평화적 활용 범위 속에 수상 DMZ 한강하구의 활용을 포함하고, 중립수역 생태조사 및 남북 민간교류 등 강 양안의 공동 프로젝트 추진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정훈 센터장은 끝으로, “평화와 생명 운동의 메카로 DMZ 가치를 강화하며 북한, 동아시아에 코로나19 방역 물자 지원 등 인도적 정부개발원조를 강화하는 한편, DMZ에 관한 정책과 이벤트, 홍보 등 사업을 조율하는 범국가 차원의 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