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전 대통령 별세… 자택서 지병으로 사망
전두환 전 대통령 별세… 자택서 지병으로 사망
  • 김도윤 기자 mostnews@kmaeil.com
  • 승인 2021.11.23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혈액암 다발성 골수종 투병 중 건강 악화
- 보훈처, "내란죄 등으로 국립묘지 안장 불가"
- 정치권도 입장차… 靑 "조화·조문 계획 없어"
세브란스병원에 마련된 고 전두환 대통령 빈소 /뉴스핌
세브란스병원에 마련된 고 전두환 대통령 빈소 /뉴스핌

[경인매일=김도윤기자] 전두환 전 대통령이 23일 향년 90세로 사망했다. 

전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 40분께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 내에서 쓰러져 숨진 채로 발견됐다. 

악성 혈액암인 다발성 골수종 확진 판정을 받으며 투병해온 그는 최근 건강상태가 악화돼 통원 치료를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전 전 대통령은 1931년 경남 합천에서 태어나 육군사관학교 11기를 졸업 후 청와대경호실 차장보, 국군보안사령관, 제10대 중앙정보부 부장, 육군 대장 등을 역임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그는 1979년 12·12 군부 쿠데타를 주도하며 이듬해 8월 대통령이 될 때까지 모든 권력을 끌어모았다. 이후 신군부의 쿠데타를 반대하는 광주 시민들을 유혈 진압하며 수백명의 희생자를 낳는 비극이 빚어지기도 했다. 

그는 1980년 8월 15일 최규하 대통령의 하야를 이끌어낸 이후 8월 29일 통일주체국민회의대의원의 간접선거로 치러진 대선에 단독 출마, 제11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취임 이후 대통령 임기 7년 단임제 및 간선제에 의한 대통령 선출을 골자로 한 새 헌법을 만들어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시계를 뒤로 돌렸다는 평가도 받는다. 

이후 당시 집권여당인 민주정의당(민정당)과 관제 야당인 민주한국당(민한당), 한국국민당(국민당) 등 3개의 정당을 임의로 만든 뒤 1981년 일명 '체육관 선거'를 통해 12대 대통령에 다시 당선됐다. 

전 전 대통령의 제5공화국의 시작은 정권을 반대하는 세력에 대한 유화정책으로 시작했다. 당시 야간통행 금지 조치 해제와 학원 두발·복장 자율화 등을 시행했고 이른바 '3S 정책'을 실시하며 우민화에 앞장섰다는 평가다. 

이밖에 삼청교육대 창설 등은 명(明)과 암(暗)이 있으나 범범자들에 대한 인권 유린 등은 공포 정치 유발과 정권에 반대하는 세력에 대한 통치 도구로 쓰이며 훗날 여론의 뭇매를 맞기도 했다. 

무엇보다 민주화 운동에 대한 탄압을 지속해 나가가 5·18 광주민주화운동 뿐 아니라 정치인, 재야인사 학생에 이르기까지 탄압을 자행했다. 

이후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통해 민주화 세력에 대한 탄압이 세간에 알려지면서 6·10 민주항쟁이 일어났고 이에 전 전 대통령은 대통령 직선제를 수용하며 5공화국의 종식을 알렸다. 

이후에도 전 전 대통령은 12·12 군사 쿠데타와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사과 표명을 하지 않으며 반성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고 선고받았던 추징금 2205억원에 대해서도 완납하지 않아 공분을 샀다. 

정치권에서도 전 전 태통령에 대한 입장차가 또렷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전 전 대통령에 대해 "내란 학살 주범으로 조문 갈 생각이 전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에 반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이날 오전 조문의사를 밝혔지만 2시간여 뒤 "조문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혀 논란이 되기도 했다. 

청와대도 얼마 전 세상을 떠난 노 전 대통령때와는 다르게 근조 화환을 보내거나 예우를 하지 않겠다고 뜻을 밝혔다. 

한편 전 전 대통령의 장례를 국가장으로 진행할 확률은 희박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장 여부의 결정 절차는 '유족 등의 의견을 고려해 행정안전부 장관의 제청으로 국무회의의 심의를 마친 후 대통령이 결정한다'고 정하고 있으나 현재 국무회의 제청 여부도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