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암칼럼] 종족보존의 순리를 지켜야
[덕암칼럼] 종족보존의 순리를 지켜야
  • 경인매일 회장 김균식 kyunsik@daum.net
  • 승인 2022.06.10 09: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인매일 회장 김균식 
▲경인매일 회장 김균식 

지구상 어떤 동식물이든 종족보전을 위한 과정은 누가 가르쳐서가 아니라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태초에 본능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다. 

오직 인간만이 신성한 성을 쾌락의 도구로 삼는가 하면 임신한 태아를 임의로 유산시키고 불임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고안해내는 능력을 가졌다. 

그리고 어느 동물이든 어미는 자식을 보호함에 있어 생명을 아끼지 않고 때로는 독사마냥 어미를 잡아먹고 살아남는 부류도 있지만 이른바 천륜에 의한 관계는 핏줄이란 이유로 그 어떤 관계보다 절대적이다. 

이러한 관계에서 자고로 번식이란 먹이사슬이 안정될 때 번성하는 것이며 먹고 사는 게 불안할 때는 멸종의 위기로 가는 것이다. 

인간도 만물의 영장이라 자칭하며 지구촌 곳곳에서 왕성한 인구증가를 가져왔으며 인종을 초월하여 거미줄보다 촘촘한 생태계를 꾸려온 바 있다. 

특히 넓은 대륙의 끄트머리인 한반도는 지리적으로나 모든 면에서 기름지고 알찬 자연의 은혜가 산적할 뿐만 아니라 사계절이 뚜렷하여 지구촌 어느 곳보다 훌륭한 서식처로 자리잡아왔다. 

그러한 세월이 반만년, 그 숱한 시간들이 지나는 동안 지형은 크게 달라진 게 없으나 온갖 외세 침략 속에서도 면면히 종족번식의 왕성한 노력(?)을 거듭해 왔다. 

지금으로부터 약 50년 전만 해도 아들딸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 거나 남아선호사상에 의존하던 우리네 조상들의 편견을 깨기 위해 열 아들 딸 하나 안 부럽다는 구호도 있었다. 

어쨌거나 그렇게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난 인구는 동족상잔의 비극을 끝으로 본격적인 산아 제한이 필요한 시대였다. 

이른 바 베이비붐 시대인 1958년 이후 약 20년 동안 전체 인구는 두 배나 가까이 늘어났다. 

대부분의 국민들이 농경이나 어업 등 1차 산업에 종사하다보니 농번기나 성어기가 지나면 한가한 틈을 타 오남매 칠남매를 당연한 듯 출산하였으니 지금의 대한민국을 일으키는 인적 자원이 된 셈이다. 

이후 2020년을 정점으로 서서히 하강곡선을 타는 인구감소는 전 세계 최하의 출산율과 도. 농간의 극심한 격차, 신세대들의 결혼 출산 주거 등 3무 개념이 한 몫 하면서 고령화는 초 고령화로 급속히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 사회 활동을 하고 있는 경제 인구들 입장에서는 기껏 살아봐야 한계가 있으니 50년이나 100년 뒤에 돌아올 인구 감소에 대한 심각성을 체감할리 없는 것이고 점차 재앙수준으로 벌어질 상황이 그리 오래 걸리지 않는 우리나라의 미래 운명이라는 점이다. 

굳이 산술적으로 계산해 보지 않더라도 이미 대한민국의 멸망은 정해진 수순을 밟게 마련이다. 의료기술과 첨단 장수방법이 쏟아져 나오면서 사망하는 사람은 줄어드는 반면 출생하는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든다.

그냥 줄어드는 게 아니라 하향 그래프가 내리막길을 곤두박질치는 형국이다. 학교에 학생이 필요하듯 국가에는 국민이 있어야 하는데 거리에 죄다 늙은이만 산적한다면 이는 지금의 안일함이 낳은 산물이 될 것이다. 

인구 감소에 대해 무감각한 현실을 되짚어보면 전쟁보다 더 심각하다. 

불과 50년 전인 1950년 6월 25일부터 53년 7월 27일까지 3년간 치러진 남북 전쟁으로 남측은 100만 명의 민간인을 포함 126만 명이 사망하고 북측도 최소 250만 명이 사망했다. 

어림잡아 약 400만 명이 생목숨을 잃었지만 현재 인구 감소는 그보다 더 심각한 실정이다. 테슬러 최고 경영자인 일론 머스크는 일본에 이어 한국의 인구절벽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다만 자국의 구성원만 이에 대해 무감각할 뿐이다. 가임여성 대비 0.84명에 불과한 %를 지금이라고 2.1명으로 늘려야 대체 출산율이 가능하다는 통계다. 

대한민국은 200개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3세대이후 인 2170년에는 약 300만 명도 채 남아 있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급격한 인구 감소에 대해 정부는 저 출산율에 막대한 예산을 퍼부었지만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였다. 출산의 출발은 남성의 정자겠지만 도착지는 여성의 자궁이다. 

겉으로 아무리 화려한 정책을 내세워도 현실적으로 관리가 엉망이라면 무슨 소용일까. 

지난 6월 9일 여가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 성매매 피해 아동 청소년 지원센터 2021년 연차 보고서에서 밝힌 내용을 전제하자면 1년간 상담, 법률지원과 의료지원 건수만 해도 약 12,000건을 넘겼다. 

물론 드러나지 않은 숫자까지 감안하면 미성년자 강간 공화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라 할 만큼 성범죄의 여지가 방대한 실정이다. 

상당 부분이 인터넷이나 채팅 앱을 통한 그루밍 형태의 성범죄 비율이 높은 편인데 그 배경에는 경제적 불안과 흔들리는 가족단위의 붕괴가 더욱 확률을 가중시켰다. 

가난해서 가출하고 심리적으로 힘든 여학생만 있고 이를 사는 매수남자는 없는 것일까. 적발 시 무기징역에 처한다면 그래도 그럴까. 물렁한 판례도 그러하고 가해자가 처벌받기까지 피해자의 고통은 두배로 늘어난다. 

어린 여학생들은 향후 대한민국 후손들을 생산해야할 성스럽고 귀한 육체이며 귀히 여겨져 원하는 커플과 결혼하고 아이 낳아 행복해야할 인적 자산이다. 

그러함에도 험난한 과정을 거쳐 사회에 진출한다면 이들이 사회를 바라보는 견해가 어떨까. 가임여성들의 출산기피 원인을 파악해 보면 다양한 의견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경제적여건, 보육과 교육에 대한 불안감의 비중이 높다. 

물론 자유를 향한 시대적 변화도 한 몫 했겠지만 적어도 정치권을 상대로 무 출산을 선포하며 한 나라의 종족보존을 담보로 엄포를 놓는 세태의 최종 책임자는 누구일까. 

표만 얻을 수 있다면 무슨 공약이든 어떤 발상이든 서슴지 않는 욕심과 그 욕심에 덩달아 춤추는 계층이 낳은 비극이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뭐가 급하고 중요한지 파악하여 아이 낳기 좋은 나라가 살기 좋은 나라임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자유가 방종이 되고 배려가 권리로 돌변하여 당장의 쾌락이나 편리함만 추구한다면 종족번식은 누가 해결할 것인가. 

지금이라도 보다 현실적인 정책을 내놓아야 하며 예산은 그런데 쓰라고 귀한 세금 모아준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