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도기동 산성 주변유적 발굴조사, 고구려 유구 추가 확인
안성 도기동 산성 주변유적 발굴조사, 고구려 유구 추가 확인
  • 진두석 기자 dsjin6@hanmail.net
  • 승인 2022.06.30 10: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안성 도기동 산성의 규모를 알려주는 목책열과 고구려 유구 추가 확인
안성시(시장 김보라)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된 ‘안성 도기동 산성’의 종합 정비를 위해 도기동 466번지 일원 등 문화재 보호구역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토루와 목책열, 목곽고, 집자리, 저장구덩이 등 삼국시대 유적을 확인했다.(사진=안성시)
안성시(시장 김보라)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된 ‘안성 도기동 산성’의 종합 정비를 위해 도기동 466번지 일원 등 문화재 보호구역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토루와 목책열, 목곽고, 집자리, 저장구덩이 등 삼국시대 유적을 확인했다.(사진=안성시)

[안성=진두석기자] 안성시(시장 김보라)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된 ‘안성 도기동 산성’의 종합 정비를 위해 도기동 466번지 일원 등 문화재 보호구역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토루와 목책열, 목곽고, 집자리, 저장구덩이 등 삼국시대 유적을 확인했다.

(재)중앙문화재연구원(원장 조상기)이 담당한 이번 발굴조사는 도기동 산성을 구성하는 구릉의 남동사면 하단부를 대상으로 산성과 관련한 유적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다.

이 지역은 도기동 산성이 발견되던 당시 목책열과 토루, 저장구덩이 등이 확인됐던 유적과 인접하여 도기동 산성의 범위에 들어갈 것으로 추정되던 지역이다.

이번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구 중에는 지반을 네모꼴로 굴착해 내부공간을 마련하고 그 외곽을 목재로 결구해 만든 구조물이 확인됐는데 저장시설인 목곽고로 추정된다.

대부분 탄화목으로 나타나 화재로 폐기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목곽고 내부에서는 고구려 토기도 함께 출토돼, 안성 도기동 산성이 백제 한성기에 축조됐다가 고구려가 남진하는 교두보로써 점유해 운영한 시설이었음을 재차 확인했다.

또한 이번 조사에서는 구릉의 사면부를 계단식으로 굴착해 흙을 쌓아올린 토루(土壘)와 그 상부에 목책을 세운 기둥자리인 목책열이 확인됐는데, 기존에 조사된 산성 내부의 목책열과 산성 보호구역 밖 목책열을 서로 연결하는 양상을 보여, 안성 도기동 산성의 범위가 사적으로 지정된 문화재 보호구역보다 훨씬 넓다는 것을 알려준다. 

안성 도기동 산성은 4~6세기 백제 한성기부터 고구려가 남진한 시기에 사용된 산성으로, 당시 고구려가 안성에 거점을 두고 남진한 루트를 밝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은 유적으로 인정받아 지난 2016년 사적으로 지정됐다. 

안성시는 이번 안성 도기동 산성 주변유적 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성의 구조와 분포범위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안성시민을 위한 역사문화 향유공간 정비와 문화재 보호구역 확장을 위한 조사‧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