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가 부패 온상이다.
규제가 부패 온상이다.
  • 원춘식기자 kmaeil86@naver.com
  • 승인 2011.11.15 12: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의 부패수준, 특시 정치인 및 고위공직자들의 부패가 거의 개선되지 않은것 같다. 정권이 바뀔때마다 부패척결을 약속하지만 부패는 여전한 것 같다. 부패감시 국제단체인 국제 투명성기구(TI)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부패인식지수(PI)는 10점 만점에 4.5점에 그쳤다.
전 세계 조사대상 146개국 가운데 47위이다. 아시아 지역에서도 싱가포르(5위), 홍콩(16위), 일본(24위), 대만(35위)등은 한국보다 훨씬 깨끗하다. 反부패개혁에도 부패지수는 여전하다. 최근에 세계경제포럼(WEF)이 한국의 국가 경쟁력 순위를 작년보다 11단계나 떨어뜨려 29위로 평가한 데에 대해 정부는 오히려 평가에 문제가 있다며 발끈했다.
국내외 기업가들의 정부부패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은 것은 큰 문제이다. 정부의 부패 수준이 이와 같다면 외국인 투자나 국내 기업투자가 늘어나기를 기대할 수 있겠는가? 우리 경제가 좀처럼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원인도 여기에 있는 것 같다. 정부가 부패해서 기업으로부터 끊임없이 흡혈을 하기 때문에 기업 활동이 저조하고 경제가 빈혈 상태에 빠져 있는 것은 아닐까?
TI는 한국의 부패지수를 발표하면서 지난해에 비해서 거의 개선되지 않았으며 정부가 반부패 청렴사회구현이란 요란한 구호에도 불구하고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논평했다. 정부의 반부패 노력에도 불구하고 반부패 전략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없기 때문에 진전이 없다는 것이다.
개혁이니 부패 척결이니 하면서 정권이 바뀔 때마다 대청소를 하는 것은 청렴도가 높은 선진국들보다 오히려 부패가 과도하고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개도국들이다.
이상한것은 잦은 개혁과 부패 척결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높은 부패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반부패 개혁이 사회적 합의를 얻지 못한고 정치적 목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반부패 노력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뇌물 공여를 하지 않아도 일이 제대로 돼야한다. 실제로 한국에서 기업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정부의 규제·절차·인허가 등을 해결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뇌물을 바쳐야 하는 상황에서 반부패 개혁이란 으레 정치적 목적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부패를 줄이려면 무엇보다도 부패의 온상인 각종 정부규제를 줄여야한다. 국내외 기업인들이 정부 규제가 기업 활동을 위축시킨다고 비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의 부패지수는 높을 수밖에 없다. 한국에서 기업 활동을 하거나 공직에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부패의 사슬을 벗어나지 못한다. 이런 상황에서 추진되는 반부패 개혁에 대해서는 으레 정당성 및 공정성의 문제가 제기된다.
반부패 전략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정부 규제가 줄어야 한다. 정치적 이용이 없어야 부패가 없어진다. 또한 반부패 개혁이 정치 목적에 이용되지 않아야 한다.
청렴도가 높은 나라들은 예외 없이 국민소득도 높다. 따라서 우리의 소득이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로 오르려면 정부가 앞으로 더욱 청렴해야 한다. 지난 10년 동안 한국의 부패인식지수는 3.8~5.02점 범의를 맴돌 뿐 큰 진전이 없었다. 같은 기간에 우리의 소득은 2만 달러 수준에서 제자리걸음을 해왔다. 한국이 부유한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청렴한 사회가 돼야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