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인매일=윤성민기자]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오염수 처리 과정을 시찰하기 위한 전문가 현장 시찰단이 5박6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한다.
이번 전문가 시찰단 파견은 지난 7일 한일 정상회담의 합의에 따른 것으로, 후쿠시마 제1원전의 오염수 관리 현장점검을 위한 전문가 시찰단이 21일에서 26일 나흘간 후쿠시마 원전을 점검케 된다.
19일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과 유국희 전문가 현장 시찰단 단장은 브리핑을 열고 "이번 시찰 활동을 통해 일본의 오염수 정화 및 방류시설 전반의 운영 상황과 방사성 물질 분석역량 등을 직접 확인하고,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더 필요한 조치를 도출할 계획"이라며 이번 일정에 대해 설명했다.
이번 전문가 시찰단은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을 단장으로 하고, 지금까지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안전성 검토를 담당해온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하 KINS)의 원전시설 및 방사선 분야 전문가 19명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의 해양환경 방사능 전문가 1명 등 총 21명으로 구성되었다. 이같은 구성은 향후 모니터링에서도 업무의 전문성·지속성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시찰단은 그간 우리 정부가 진행한 오염수 방류에 대한 과학적 안전성 검토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도쿄전력 및 경산성 관계자들과 기술회의를 통해 후쿠시마 원전의 전반적인 현황(오염수·지하수 관리현황 포함)과 향후 계획 등에 대해 논의할 전망이다.
아울러, 다핵종제거설비(이하 ALPS) 및 해양방출 설비의 설치상태와 성능 점검 결과 등을 집중적으로 확인하고, 화학분석동에서 이루어지는 ALPS 처리된 오염수의 농도 분석결과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한다.
또 도쿄전력과 경산성,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 등 일본측 관계자들과 기술회의와 질의응답을 통해, 생태계축적 등 방사선 환경영향평가, 탱크 오염수 분석값 등에 대해 심층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앞으로도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오염수가 과학적 안전성을 담보하고, 국제법·국제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처분되도록 엄정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또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국내 원근해 방사능 조사와 국내 수산물 방사능 검사 및 원산지 단속도 강화하고, 우리 바다와 수산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철저히 점검하며, 필요한 조치를 즉각 실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