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폭격 등 비상시 주민이 대피할 수 있는 경기도 내 대피시설이 미비하거나 관리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북부지역 전방 지역은 오래된 대피시설이 노후화되어 시설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4일 도에 따르면 현재 지자체는 도내에 3천862개(면적 16.8㎢)의 주민 비상대피시설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 대피시설들이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은 전체 도민의 184.9%에 이른다.
그러나 이같은 대피시설은 모두 아파트 지하주차장, 대형 빌딩 지하 공간 등 주로 민간시설을 대상으로 지정돼 있고, 비상급수시설이나 환기시설, 전력·통신시설, 밀폐시설 등도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이곳에 주민들이 비상시 단시간 대피는 가능해도 장기간 대피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주민 대비 대피공간 확보율은 여주군이 52%(15곳)로 가장 적은 가운데 최전방 지역인 연천군이 127곳(33곳), 포천시가 101%(18곳) 등으로 도내 평균을 밑돌았다.
특히 전방 지역의 대피시설 역시 도심지에 밀집돼 있어 농촌지역은 사실상 대피시설이 전무한 상태다.
현재 도내에 비상 급수 및 전력 시설을 제대로 갖춘 벙커 형태의 정부 지원 민방공 대피시설 28곳(수용인원 최대 4천200명)이 있다.
그러나 이 시설 등은 시.군청 등 관공서 지하나 인근에 설치돼 있어 사실상 일반 주민들의 대피시설이라기 보다는 비상시 행정기관이 비상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조성한 것이다.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됐던 1995년 이후부터는 이같은 정부지원 대피시설의 추가 조성도 중단된 상태다.
비상급수시설 지정 및 관리 역시 허술한 상태다.
도내에는 식수용 759곳, 생활용수용 591개 등 1천350개의 지하수 시설이 비상급수 시설로 지정돼 있다.
이 가운데 286곳(식수용 242곳, 생활용수용 44곳)이 지하 100m 이상의 지하관정을 이용하는 정부지원 시설이다.
지자체는 정부지원 시설의 경우 분기별로 수질 검사를 하며 나름대로 체계적인 관리를 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대피시설 한 곳을 만드는 데 수십억원의 예산이 필요하고, 주민대피시설은 국비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