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인천 화재사고 노후주택과 산업시설 피해 심각
인천연구원, 인천 화재사고 노후주택과 산업시설 피해 심각
  • 김정호 기자 kjh6114@hanmail.net
  • 승인 2020.03.31 10: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시 안전도시 진단 시설물 및 노후주택 화재실태 분석’연구결과
인천연구원

(인천=김정호기자)인천연구원은 2019년 기획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시 안전도시 진단 시설물 및 노후주택 화재실태 분석’ 결과보고서를 30일 발표했다.

화재는 사회재난·사고 중 교통사고에 이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고 재산피해 규모에선 가장 심각한 사고유형이다. 하지만 인천시 화재사고가 어떠한 시설에서 주로 발생하고, 화재 발생 양상이 어떤 상황인지에 대해서는 그동안 검토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5년 인천시 화재사고 전수자료를 활용하여 화재의 발생빈도와 재산피해가 가장 심각한 시설유형을 파악하고, 군집분석을 통해 화재사고가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지역을 확인했다.

화재 실태분석 결과, 화재빈도가 가장 큰 시설은 주거시설(27.0%), 산업시설(15.2%)로, 재산피해가 가장 큰 시설은 산업시설(55.0%)과 주거시설(10.9%)로 나타남으로써, 주택과 산업시설이 인천시 화재사고에서 가장 주요한 시설유형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주거시설과 산업시설이 밀집된 서구, 부평구, 남동구, 중구, 미추홀구 일부지역에서 화재가 집중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주거시설 중 주택의 노후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주택유형이 단독주택과 연립주택일 경우 한 호당 화재 발생빈도와 피해규모가 커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화재에 취약한 노후 주거지역에서의 주요 이슈인 단독주택 밀집도, 주택 노후도, 소방도로 미확보 위험성에 대해 추가적인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출했다.

단독주택은 다른 주택유형에 비해 인근 주택으로의 확산 가능성이 커서 화재예방과 신속한 소방대처가 필요한 주거시설이다. 인천시 단독주택은 대부분의 도시지역에서 모두 군집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구도심 지역의 단독주택 밀집도가 타 지역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화재발생 확률과 관련이 깊은 주택 노후도를 최근 인천시 주택유형별 공급 및 멸실 통계에 근거하여 2040년까지 추정하했다. 전체 주택유형의 경우 30년 이상 경과된 노후주택 비중이 현재 약 20%에서 2040년 55% 수준으로 급증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단독주택의 경우 60년 이상 노후화된 주택의 비중이 현재 3.8%에서 2040년 40.8%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노후주택에 대한 대응이 시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노후 주거지역 중 상당수는 열악한 물리적 여건에 의해 화재 발생 시 소방도로 확보가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소방도로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주거지역과 주택유형을 도출하기 위해 주택 및 도로의 공간정보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인천시 일반단독주택 유형 중 32.8%가 소방도로 확보가 어려운 ‘소방장애지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립주택(14.2%)과 다가구주택(5.7%)과 다세대주택(5.9%) 역시 일부 주거지역은 소방장애지역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는 단 한 동도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 큰 차별점이다.

인천연구원 민혁기 연구위원은 “노후 주거지역과 산업시설에서 발생하는 화재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인천시의 적극적인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라고 밝히면서, “앞으로 인구감소·저성장 시대에 진입하게 됨에 따라 시설물의 노후도는 예전보다 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라 인천시민의 생명과 자산을 지킬 수 있는 방재정책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