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평택시의회에서 시 산하단체의 하나인 평택시국제교류재단 대표이사 임용후보자 정책청문회를 개최했다.
평택시는 지역 출신이 아닌 타 지역 인사로 평택도시공사에 이어 또다시 외부에서 전문가를 초빙해 산하기관장 임명을 준비하는 것 같다.
청문회를 지켜보며 평택시 인구 60여만 명 중 과 평택시 산하기관을 운영할만한 전문가가 全無한 것인지 자문해봤다.
얼마 전에 임명된 평택도시공사 사장은 화성시도시공사 사장을 거쳐 새만금개발공사 사장 등을 역임한 건설 쪽에서 잘 알려진 전문가다.
평택시국제교류재단 대표이사 임용후보자 역시 부산국제교류재단 사무총장을 역임했고 뉴욕 총영사관 부총영사, 아랍에미리트 대사관 공사, 유엔대한민국 대표부 공사를 역임한 외교통의 전문가다.
그렇다. 평택 60만 시민 중에서 이만한 경력을 가진 전문가가 존재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하지만, 지자체 산하기관장을 꼭 외부 인사를 영입해야만 하는 것인지에 대해 평택시 정가에서 나름 불만을 토로하는 것이 필자의 눈과 귀에 많이 와닿는 것이 현실이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이 있다. 얼마 전에 평택시복지재단 이사장에 대한 지역 인사 하마평이 나돌던 적이 있었다. 결국은 관선 부시장 체재로 결정됐다.
이를 두고 평택시 지자체장이 산하기관장의 인사에 있어 정치적인 시선으로 ‘오해받지 않겠다는 것’을 지나치게 의식해 평택시 지역 인물들의 기용을 꺼려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팽배했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지역 정가의 의견은 산하기관장 인사에 물론 낙하산식 인사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복지, 문화, 교류, 건설 부문에서 외부 전문가 영입만이 최선 인지를 묻고 있는 것이다.
다만 완벽하지는 못해도 검증되고 지역에서 나름 전문가적인 입지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공개적으로 선출할 수는 없는지를 묻고 있는 것이다.
이쯤해서 30여 년이 훌쩍 지난 ‘지방 자치 제도’의 사전적 정의를 곱 씹어본다.
지방자치제도 = "일정한 지역을 기초로 그 지역의 주민이 자치 단체에 참여하여 자주적으로 지역의 사무를 처리하는 제도"
'그 지역의 주민이 자치 단체에 참여하여 자주적으로.....'라는 부문을 평택시의회의 임용 청문회를 지켜보면서 나지막하게 읊조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