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재생에너지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사진제공=(주)태담

[경인매일=최규정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기후 위기 대응이라는 세계적 흐름에 따라 재생에너지 중심 사회로 조속히 전환”을 강조했다. 또한 “에너지 수입 대체, RE100 대비 등 기업 경쟁력 강화에 더하여, 촘촘한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로 전국 어디서나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게 해 소멸 위기 지방을 살리겠다”는 이재명 정부의 재생에너지 관련 주요정책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시절 태양광 발전 사업을 미래먹거리 사업으로“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지역 주민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모델을 통해 에너지 자립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의 유휴지나 폐교 부지를 활용한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 설치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했다.

가장 좋은 모델로는 지역 주민들이 직접 투자하고 운영에 참여하는 “에너지 협동조합” 모델을 권장하며, 이를 통해 주민들은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지역 내 에너지 소비를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전남 신안군이 2012년부터 시작한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주목하면서, 풍부한 일조량과 넓은 해양공간을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수익을 주민과 공유하는 성공한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후보시절 여러 번 거론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태양광 발전소 설치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관련 규제를 완화, 한전의 연계설로의 보급 확대를 통하여 민간 참여를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인구 소멸 위기를 겪는 지역의 새로운 활력소가 되길 바라는 주민과 지자체들의 기대가 크다.

최근 늘러나고 있는 소형RPS 태양광 발전. 사진제공=(주)태담
최근 늘러나고 있는 소형RPS 태양광 발전. 사진제공=(주)태담

최근에는 주민의 전체적인 동의를 구하는 대규모 지자체의 공동 개발보다는 개인이 주택의 지붕이나 축사,작업장 등에 소형RPS를 설치하여 미래의 노후자금을 준비하는  주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소형RPS의 경우 대규모의 공공개발보다는 설치와 인허가가 간편하고, 가정의 수익에도 적지 않은 보탬을 주고 있어, 제2의 노후연금이라고 칭하는 주민들도 있다.

태양광 발전 사업체를 운영하는 주)태담 이진용 대표는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섬 마을에, 미래먹거리 사업인 태양광 발전 사업으로 섬 주민들의 경제적 안정을 통하여 다시 사람들이 찾아와 고향이 발전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저작권자 © 경인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