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명창 정옥향(국악로문화보존회 이사장)이 이끄는 '2025 국악로축제'가 오는 10월 25일 오후 2시 30분 종로 탑골공원에서 개막한다.

이번 축제는 "전통의 울림, 종로의 흥"을 주제로, 전통예술의 본고장 종로의 역사적 정체성을 되살리는 동시에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호흡하는 열린 문화의 장으로 마련된다.

축제의 첫 무대는 정옥향 명창의 판소리 공연으로 시작된다. 국악로문화보존회를 이끌며 전통예술 보존과 계승에 헌신해온 정 명창은, 이번 무대에서 오랜 세월 무대에서 갈고닦은 진한 소리로 우리 가락의 진수를 들려줄 예정이다.

정 명창의 구성진 창법과 깊이 있는 소리는 올해 국악로축제의 서막을 여는 데 더할 나위 없는 무대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는 단순히 공연자를 넘어, 국악로의 역사를 복원하고 전통예술의 맥을 이어가는 상징적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정옥향 명창의 판소리 무대를 시작으로, △전통가요 가수 성민호 △진도북춤의 이경화 △경기민요 이정현 △남도민요 봉미영·유병주 △홍지무(임정숙 외 3명) △열두장고(조경희 아카데미) △사물놀이팀 △고고장구 '어우동 춤'(김도연) 등 다채로운 전통공연이 이어진다. 사회는 KBS 방송인 방일수가 맡아 관객과 호흡하며 현장을 이끈다.

'국악로'는 본래 창덕궁 돈화문에서 종로3가까지 이어지는 거리로, 조선시대 궁중악사와 명창, 악기장이 모여 살던 '국악의 거리'였다. 그러나 도로명주소 제도 시행 이후 '돈화문로'로 명칭이 바뀌면서 국악로의 이름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정옥향 명창을 비롯한 국악인들은 매년 이 축제를 통해 국악로의 정신을 되살리고, 종로가 가진 전통예술의 중심지로서의 정체성을 복원하는 데 힘써왔다.

국악로문화보존회 관계자는 "이번 축제는 정옥향 이사장을 중심으로 종로의 역사적 정체성을 복원하고,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전통예술을 체감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특히 국악로 일대는 돈화문과 국립국악원, 국악고등학교 등 국악의 중심지로서 그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올해 축제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국악로의 문화적 복원'과 '전통예술의 현대적 소통'을 실현하는 장으로 평가된다. 정옥향 명창의 깊이 있는 소리를 필두로, 젊은 예인들의 역동적인 무대가 어우러지며 세대를 아우르는 전통예술의 힘을 보여줄 전망이다.

서울의 한복판에서 펼쳐질 이번 국악로축제는, 정옥향 명창이 이끄는 "도심 속 전통의 향기", 그리고 "국악의 현재진행형"을 확인할 수 있는 특별한 무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경인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