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매몰 사고 현장 [사진=소방청]
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매몰 사고 현장 [사진=소방청]

울산 화력발전소 해체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보일러동 붕괴사고와 관련해 국토교통부가 사고원인 규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토부는 지난 6일 울산에서 발생한 5호기 보일러동 붕괴사고에 대해 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조사를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사고는 발전소 해체공사 중 보일러동 구조물이 붕괴되며 발생했으며, 중대형 해체공사 안전에 대한 제도 전반의 점검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조사위원회는 ‘건설사고조사위원회’와 ‘중앙건축물사고조사위원회’를 통합한 형태로 구성됐다. 건설공사 안전관리와 건축물 해체공사 전반을 폭넓게 들여다보기 위한 조치다. 위원회는 산·학·연 외부 전문가 12인으로 구성되며, 단국대학교 이경구 교수가 위원장을 맡는다. 위원들은 이번 사고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없는 인사들로 구성됐다.

사고조사위의 공식 운영기간은 이날부터 4개월이며, 사고 조사 진행에 따라 필요 시 연장될 수 있다. 국토안전관리원이 사무국을 맡아 간사 역할을 수행하고, 국토부는 관계기관과의 협의 등 조사 활동 전반을 지원한다.

사조위는 같은 날 사고현장 인근에서 착수회의를 열고 조사에 돌입한다. 조사 대상은 안전관리계획서와 해체계획서의 적정성, 발파 및 전도 공법 등 설계와 구조검토의 타당성, 발주청과 시공사, 감리 등의 의무 이행 여부, 하도급 선정과 관리의 적정성 등이다. 국토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유사 사고를 막기 위한 재발방지 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경인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